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정보/부동산 정보

주택 전세, 월세 계약 임대차신고 하는 방법

by lakebds대표 2023. 12. 11.
반응형

안녕하세요. 2021.06.01부터 주거용 건물을 전세, 월세 임대차계약한 경우 의무적으로 임대차계약신고를 해야 합니다. 만약 임대차계약신고를 하지 않았거나 거짓으로 신고한 경우에는 주택소유자에게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오늘은 주택임대차계약신고란 무엇인지와 주택임대차계약신고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택임대차계약신고(전월세신고)란?

주택임대차계약 체결일로부터 30일이내에 계약 당사자가 임대기간, 임대료 등 계약주요 내용을 신고하는 것입니다. 임대인과 임차인은 주택임대차계약 체결 후 공동으로 주택 임대차계약 신고서를 관할 소재지의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제출해 신고하게 되어있습니다. 만약 당사자 일방이 이를 거부하면 단독으로도 신고가 가능합니다.

 

 

주택임대차계약신고 대상 및 신고방법

 

1. 신고대상

  • 주거용건물(실징용도로 판단하며 오피스텔, 고시원, 기숙사 포함)이며 보증금 6000만 원 또는 월차임 30만 원을 초과하는 임대차계약
  • 임대료 변동없이 기간만 연장하는 신계약, 묵시적 갱신의 경우 신고의무에서 제외

2. 신고지역

  • 수도권(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광역시, 도(군지역은 제외), 세종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

3. 신고방법

  • 임대인과 임차인이 직접 계약한 경우 임대차계약 당사자인 임대인과 임차인이 공동으로 신고해야 합니다. 다만 임대인과 임차인 중 1인이 임대차계약서를 제출하여 신고한 경우에는 공동으로 신고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즉 계약서를 지참하여 신고하면 혼자서 가도 된다는 의미입니다.
  • 공인중개사를 통해 계약한 경우 공인중개사가 임대인, 임차인중 1인에게 위임받아 대리신고해도 됩니다. 다만 이때 위임했다는 서류를 준비하는 게 좋습니다.
  • 임대차계약의 체결일로부터 30일 이내 임대주택 소재지 관할 지방자치단체(시청, 구청, 행정복지센터)에 신고해야 합니다.

4. 위반사항에 대한 제재

  • 미신고 또는 거짓 신고 시 100만 원 이하에 과태료를 부과합니다.

 

주택임대사업자도 전월세 신고를 해야 하는가?

주택임대사업자는 민간임대주택법에 의한 임대차계약신고를 통해 임대차계약내용을 별도로 신고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주택임대차계약신고를 한 것으로 의제됩니다. 즉 주택임대사업자는 표준임대차계약서를 작성하고 구청에 임대차계약신고를 하였다면 별도로 전월세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마치며

부동산 규제가 많아지면서 임대, 매매 계약 시마다 해야 할 일들과 확인해야 할 사항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좋은 목적을 위해 규제를 늘려가는 것은 이해합니다만 법을 졸속으로 처리하여 생기는 피해들은 빨리 고쳐줬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