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임대차계약신고2 주택 전세, 월세 계약 임대차신고 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2021.06.01부터 주거용 건물을 전세, 월세 임대차계약한 경우 의무적으로 임대차계약신고를 해야 합니다. 만약 임대차계약신고를 하지 않았거나 거짓으로 신고한 경우에는 주택소유자에게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오늘은 주택임대차계약신고란 무엇인지와 주택임대차계약신고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택임대차계약신고(전월세신고)란? 주택임대차계약 체결일로부터 30일이내에 계약 당사자가 임대기간, 임대료 등 계약주요 내용을 신고하는 것입니다. 임대인과 임차인은 주택임대차계약 체결 후 공동으로 주택 임대차계약 신고서를 관할 소재지의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제출해 신고하게 되어있습니다. 만약 당사자 일방이 이를 거부하면 단독으로도 신고가 가능합니다. 주택임대차계약신고 대상 및 신고.. 2023. 12. 11. 주거용 오피스텔 임대차신고 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오피스텔을 업무용이 아닌 전입신고가 가능한 주거용으로 임대차하는 경우 임대차계약을 맺고 나면 이를 신고해야 합니다. 이걸 임대차신고라고 합니다. 예전엔 의무적으로 신고해야 하는 건 매매계약만 해당됐지만 2021년 6월부터는 주택을 임대차계약했을 때도 신고해야 하는 법이 생겼습니다. 오늘은 임대차신고 대상과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 월세 계약 신고제 부동산중 주택을 임대차하는 전세 또는 월세계약이 체결되면 임대료, 보증금, 임대차기간과 같은 계약내용을 관할 시군구청에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신고해야 하는 제도입니다. 2021년 6월 이전까지는 매매계약만 신고 의무가 있었지만 이제는 주택의 경우 임대차계약신고가 필수입니다. 신고대상지역 수도권, 광역시, 세종시, 각도의 시는 모두 대.. 2023. 11. 2. 이전 1 다음 반응형